2025년 기준 시가총액 상위 금융주 KB금융(105560)의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배당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분석으로 중장기 배당 투자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업 개요
KB금융(105560)은 대한민국 대표 금융지주사로, 국민은행을 중심으로 한 은행업을 포함해 증권, 보험, 카드, 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이자이익 기반과 함께 비은행 부문의 실적 확대 전략을 지속하고 있으며, 국내 금융주 중에서도 배당 투자자들에게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종목입니다. 특히 최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기대감으로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수익성 분석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ROE (%) | 8.56 | 9.80 | 8.28 | 8.39 | 8.86 |
ROA (%) | 0.62 | 0.69 | 0.58 | 0.65 | 0.68 |
영업이익률 (%) | 8.32 | 10.35 | 6.37 | 8.24 | 9.46 |
순이익률 (%) | 6.31 | 7.44 | 4.73 | 5.84 | 5.91 |
EPS (원) | 8,341 | 10,605 | 10,097 | 11,349 | 12,705 |
KB금융(105560)은 2020년 이후 전반적으로 8% 이상의 ROE를 유지하며 자본 효율성이 양호한 편입니다. 순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은 금융 환경에 따라 다소 변동성을 보였지만 2024년에는 각각 5.9%, 9.5%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EPS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주당순이익이 5년간 약 50% 증가했습니다. ROA 역시 0.6% 이상으로 유지되며 자산 운용 측면에서도 효율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수익성은 안정적이며, 배당 재원 확보에 긍정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 성장성 분석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 (억원) | 556,802 | 589,176 | 830,621 | 775,064 | 850,764 |
영업이익 (억원) | 46,343 | 60,976 | 52,892 | 63,850 | 80,453 |
당기순이익 (억원) | 35,156 | 43,844 | 39,314 | 45,263 | 50,286 |
BPS (원) | 109,191 | 121,808 | 135,583 | 149,718 | 154,949 |
KB금융(105560)의 매출액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특히 2024년에는 85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이익 성장세를 동반하고 있습니다. 순자산 가치인 BPS 역시 지속 상승 중으로, 기업의 내재가치가 함께 커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반적인 성장성은 금융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며, ROE와 EPS의 증가 흐름과 함께 실적 기반이 탄탄해지고 있습니다. 성장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우수한 기업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안정성 분석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부채비율 (%) | 1,307.11 | 1,274.70 | 1,172.76 | 1,120.62 | 1,166.98 |
자본유보율 (%) | 2,030.46 | 2,264.45 | 2,528.20 | 2,760.58 | 2,820.33 |
이자발생부채 (억원) | 950,735 | 1,082,900 | 1,244,881 | 1,198,526 | 1,286,044 |
KB금융(105560)의 부채비율은 1,100~1,300% 수준으로 은행업종 특성을 감안할 때 안정적인 구조입니다. 자본유보율이 2,800%에 달해 자본 확충 없이도 위기 대응 여력이 매우 높습니다. 이자발생부채는 2024년 기준 12.8조원 규모로, 지속적 이자보상 능력이 중요한 모니터링 포인트입니다. 재무구조 전반은 리스크 대비 체력이 우수하며, 높은 자본적정성으로 외부 충격에도 버틸 수 있는 안정적인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현금흐름도 영업활동 중심으로 개선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배당 분석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DPS (원) | 1,770 | 2,940 | 2,950 | 3,060 | 3,174 |
배당수익률 (%) | 4.08 | 5.35 | 6.08 | 5.66 | 3.83 |
배당성향 (%) | 19.88 | 25.98 | 27.68 | 25.38 | 23.64 |
KB금융(105560)은 배당금을 매년 꾸준히 증가시켜왔으며, 2024년 기준 DPS는 3,174원입니다. 배당수익률은 2023년에는 6% 수준을 유지했으나, 2024년에는 주가 상승으로 인해 3.83%로 다소 낮아졌습니다. 배당성향은 평균적으로 24~26%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특별배당보다는 정기배당 위주의 정책을 취하고 있습니다. 고정적인 배당 투자자에게는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높은 종목입니다. 배당 성장성과 지속성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락일 | 지급일 | 배당금 (원) |
---|---|---|
2025-05-09 | 2025-05-22 | 912 |
2025-02-27 | 2025-04-15 | 804 |
2024-09-27 | 2024-11-07 | 795 |
2024-06-27 | 2024-08-08 | 791 |
2024-03-28 | 2024-05-09 | 784 |
2024-02-28 | 2024-04-11 | 1,530 |
2023-09-26 | 2023-11-08 | 510 |
2023-06-29 | 2023-08-08 | 510 |
2023-03-30 | 2023-05-11 | 510 |
2022-12-28 | 2023-04-10 | 1,450 |
최근 지급된 배당이력을 보면, 분기별로 4월 5월, 8월, 11월 배당이 지급됩니다. 2024년까지는 4월에 결산배당으로 배당금이 컸으나 2024년 4월 이후로는 분기별 배당금이 많이 인상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요약
KB금융(105560)은 수익성과 성장성, 안정성, 배당 안정성 면에서 고르게 균형 잡힌 대표 금융주입니다. ROE, EPS, BPS 등의 주요 지표는 모두 우상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재무구조도 은행업 특성상 높은 부채비율을 고려하더라도 자본유보율이 매우 높아 위험에 견디는 능력이 우수합니다. 배당 측면에서는 연속성과 점진적 증가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인컴 투자자에게 적합한 종목입니다. 상법 개정에 따른 주주환원정책의 변화가 추가적으로 반영된다면, 주가 및 배당 측면에서도 추가적인 긍정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망을 배제한 순수 데이터 기반 분석에서도, KB금융은 장기 투자에 적합한 핵심 배당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국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6800) 미래에셋증권 종목 분석 | 상법 개정 수혜주 시리즈 ⑤ (0) | 2025.07.02 |
---|---|
(138040) 메리츠금융지주 종목 분석 | 상법개정 수혜주 시리즈 ④ (0) | 2025.07.01 |
(086790) 하나금융지주 종목 분석 | 상법개정 수혜주 시리즈 ③ (0) | 2025.06.30 |
(055550) 신한지주 종목 분석 | 상법개정 수혜주 시리즈 ② (2) | 2025.06.27 |
상법 개정 수혜주 집중 분석: 은행 vs 증권 vs 보험, 어디가 유망할까?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