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상장된 월배당 ETF 중 하나인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는 CD금리에 기반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합니다. 특히 조건부 추가금리 구조를 통해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 향상 기회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ETF의 운용 전략, 구성 종목, 분배금 추이, 주가 흐름을 분석하여 투자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 ETF 기본 정보
항목 | 내용 |
---|---|
ETF명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 |
티커 | 481050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상장일 | 2024.04.23 |
순자산 | 22,066억원 |
총보수 | 연 0.05% |
위험등급 | 4등급(보통위험) |
현재가(원) | 1,022,975 |
기초지수 | KAP 1년은행CD+추가금리 지수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는 삼성자산운용이 출시한 월분배형 ETF로, CD 금리와 추가금리 조건을 복합 반영한 지수를 추종합니다. 2024년 4월에 상장된 이 ETF는 단기간 성장으로 현재 약 2.2조 원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수는 0.05%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위험등급은 4등급(보통위험)으로, 초단기 채권 ETF보다는 다소 높은 변동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현재가는 1좌당 약 102만원이며, 고액투자자 중심의 설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기초자산 및 운용전략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는 1년 만기 CD금리와 조건부 추가금리를 합산한 KAP 1년은행CD+추가금리 지수의 성과를 장외파생상품을 통해 추종하는 구조입니다. KOSPI200 지수가 1% 이상 상승한 날에는 연 0.5% 수준의 추가금리가 일할 계산으로 반영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운용전략은 초과수익 추구형 액티브 ETF로 설계되어 있으며, CD금리 기반의 안정성과 주식시장 연동 보너스 금리를 동시에 추구합니다. 단, 장외파생상품 구조로 인해 거래상대방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합니다.
📦 구성 종목 상위 10개
종목명 | 종목코드 | 비중(%) | 수량 | 평가금액(원) |
---|---|---|---|---|
스왑(하나금융투자) | SWAP00000014 | 34.58 | 26,872,205 | 26,872,205 |
국고03250-4209(22-11) | KR103504GC97 | 11.4 | 8,337,579 | 8,860,820 |
국고03250-5403(24-2) | KR103502GE30 | 9.89 | 6,947,983 | 7,684,378 |
국고02875-4409(24-10) | KR103504GE95 | 7.24 | 5,558,386 | 5,625,964 |
하나증권3776 | KR6HN0005EZ4 | 6.13 | 4,631,989 | 4,763,129 |
물가00750-3406(24-6) | KR103503GE62 | 4.62 | 3,473,991 | 3,587,527 |
하나증권3794 | KR6HN0006P79 | 4.19 | 3,242,392 | 3,254,846 |
하나증권3787 | KR6HN0006237 | 3.02 | 2,315,994 | 2,348,260 |
하나증권3790 | KR6HN0006J10 | 3.00 | 2,315,994 | 2,329,702 |
국고02625-5503(25-2) | KR103502GF39 | 2.87 | 2,269,674 | 2,226,954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의 주요 구성은 스왑 계약(34.6%)과 국고채 중심으로 되어 있어, CD금리 지수를 파생상품으로 복제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국채는 대부분 만기 1~2년 수준의 중단기물로 안정성을 높이고 있으며, 하나증권 발행증권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현금 보유와 국채 혼합으로 유동성과 금리 추종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실물자산과 파생상품의 조합은 운용의 민첩성을 제공하지만, 상대방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 최근 6개월 분배금 지급 내역
지급기준일 | 실지급일 | 분배금액(원) | 주당 과세 표준액(원) |
---|---|---|---|
2025.05.30 | 2025.06.04 | 2,119 | 2,119 |
2025.04.30 | 2025.05.07 | 2,331 | 2,331 |
2025.03.31 | 2025.04.02 | 2,335 | 2,335 |
2025.02.28 | 2025.03.05 | 2,579 | 2,579 |
2025.01.31 | 2025.02.04 | 2,505 | 2,505 |
2024.12.30 | 2025.01.03 | 2,805 | 2,805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의 최근 6개월간의 분배금 추이를 보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부터 2,805원으로 시작해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시장 금리나 KOSPI200 상승 조건 미충족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월 2,000원대 초중반의 꾸준한 분배가 이루어지고 있어 월 현금흐름에 기반한 투자 전략에 부합합니다.
💰 연도별 분배금 흐름
항목 | 2025년 |
---|---|
분배 횟수 | 6회 |
총 분배금(원) | 14,674 |
월 평균 분배금(원) | 2,446.7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는 2025년 1월부터 분배금 지급을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6회에 걸쳐 14,674원의 분배금이 지급되었습니다. 월 평균은 약 2,446.7원 수준입니다. 정기적인 분배 주기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추세가 유지된다면 연간 28,000원 이상의 분배금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최근 주가 수익률

구분 |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상장이후 |
---|---|---|---|---|---|
수익률 | 0.02% | 0.03% | -0.01% | 1.68% | 2.20%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의 주가 수익률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상장 이후 누적 수익률은 2.2%입니다. 단기 수익률은 정체 상태지만, 이는 금리 안정기에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배당 포함 총수익률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월분배금을 더하면 체감 수익률은 더 높아집니다.
📝 종합 요약 및 결론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H)는 CD금리와 주가 조건부 추가금리를 합산한 지수를 액티브 방식으로 추종하며, 매월 일정한 분배금을 제공합니다. 장외파생상품을 통한 지수 복제 방식과 국고채 기반 포트폴리오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단기 수익률은 낮지만, 월 분배금 안정성과 낮은 보수, 국내 채권 ETF 대비 새로운 구조가 투자 포인트입니다. 특히 시장금리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고정형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유용하며, 리스크는 장외파생상품 구조에 내재된 거래상대방 리스크입니다. 월 배당 포트폴리오에 안정성을 더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선택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