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는 53년 연속 배당을 늘려온 미국의 대표적인 배당왕 기업입니다. 본문에서는 킴벌리클라크의 재무제표, 배당 흐름, 주가 동향을 통해 장기 투자 매력도를 분석합니다.
🏢 1. 기업소개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는 1872년 설립된 미국의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입니다. 대표 브랜드로는 하기스(Huggies), 스카트(Scott), 클리넥스(Kleenex), 코텍스(Kotex) 등이 있으며, 전 세계 175개국 이상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력 사업은 소비자용 위생용품으로, 특히 기저귀, 화장지, 여성용품에서 강력한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텍사스주 댈러스 인근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ESG 경영 실천과 함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한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2. 재무제표 분석 (단위: 백만 달러)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총매출 (백만$) | 19,140 | 19,440 | 20,175 | 20,431 | 20,058 |
영업이익 | 3,567 | 2,843 | 2,637 | 2,831 | 3,185 |
순이익 | 2,352 | 1,814 | 1,934 | 1,764 | 2,545 |
자기자본 | 626 | 514 | 547 | 915 | 840 |
총부채 | 8,948 | 9,123 | 9,184 | 8,486 | 7,916 |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의 매출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4년에 소폭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021~2022년에 감소했지만, 2024년에는 3,185백만 달러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순이익은 2023년까지 하락 추세였으나 2024년에 크게 증가해 2,545백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자기자본은 2023년에 급증했다가 2024년에 소폭 감소했으며,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총부채는 2020년부터 감소세를 보여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 3. 배당 분석
3-1. 최근 배당 이력 (단위: 달러)
배당락일 | 배당지급일 | 배당금 |
---|---|---|
2025-03-07 | 2025-04-02 | 1.26 |
2024-12-06 | 2025-01-03 | 1.22 |
2024-09-06 | 2024-10-02 | 1.22 |
2024-06-07 | 2024-07-02 | 1.22 |
2024-03-07 | 2024-04-02 | 1.22 |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는 분기당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며, 2025년에는 분기당 1.26달러로 2024년 1.22달러 대비 3.28%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53년 연속 배당성장으로 배당왕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배당률(TTM)은 3.47%이며, 5년 배당성장률(CAGR)은 3.41%, 10년 배당성장률(CAGR)은 3.98%입니다.
3-2. 배당 주요 지표 (단위: 달러)
항목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연간 배당금 | 4.28 | 4.56 | 4.64 | 4.72 | 4.88 |
EPS | 6.90 | 5.38 | 5.73 | 5.22 | 7.58 |
배당성향 | 61.69% | 83.57% | 80.56% | 90.02% | 63.97% |
Levered FCF (백만$) | 2,016.9 | 1,321.9 | 1,669.9 | 2,461.3 | 2,126.9 |
Dividends Paid (백만$) | -1,451 | -1,516 | -1,558 | -1,588 | -1,628 |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의 연간 배당금은 매년 소폭씩 인상되며,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PS는 2024년에 7.58달러로 크게 증가하여 배당 여력을 더욱 확보하였습니다. 배당성향은 2023년에 90%로 높았으나, 2024년에는 63.97%로 안정화되었습니다. FCF는 2023년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현금흐름 측면에서도 배당 여력이 충분함을 나타냅니다. 실제 지급된 배당금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장기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지표입니다.
📈 4. 주가 분석 (단위: 달러)
연도 | 저가 | 고가 | 종가 |
---|---|---|---|
2020 | 110.66 | 160.16 | 134.83 |
2021 | 125.27 | 143.37 | 142.92 |
2022 | 108.74 | 145.79 | 135.75 |
2023 | 116.32 | 147.87 | 121.51 |
2024 | 117.67 | 149.31 | 131.04 |
2025 | 124.10 | 150.45 | 141.68 |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의 주가는 팬데믹 이후 급등과 조정을 반복하며 안정화되어 왔습니다. 2021년 종가는 142.92달러로 2020년 대비 상승하였고, 2022년에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2023년에는 저가 수준이 낮아졌고, 종가도 하락했습니다. 2024년과 2025년에는 주가가 다시 반등세를 보이며 강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장기적 흐름에서 고가와 저가의 폭이 줄어들며 변동성 완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5. 결론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 KMB)는 150년 가까운 역사와 안정적인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꾸준한 실적과 배당 성장을 보여온 대표적인 배당왕 종목입니다. 재무제표 상에서 부채는 감소하고, 순이익과 현금흐름은 회복세를 보이며 재무 안정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배당은 분기별로 일관되게 지급되고 있으며, EPS 및 FCF와의 괴리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주가는 조정과 반등을 반복했으나 최근 회복세가 뚜렷합니다.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연속 배당 성과, 시장 지배력이 높은 브랜드를 장점으로 꼽을 수 있으며, 경기 민감한 원자재 비용과 높은 배당성향 구간에서의 수익성 압박에 대해서는 유의해야 합니다.
📚 자료 출처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 댓글과 ❤️ 공감 부탁드립니다!
다음 배당왕 종목 분석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