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 SK하이닉스(000660) 배당금 분석 | 시가총액 2위 배당은 얼마나 줄까?

배당스쿨장 2025. 4. 29. 08:00

2025년 SK하이닉스(000660)는 실적 반등과 배당 확대가 기대되는 시가총액 2위 반도체주입니다. 주가 흐름, 재무제표, 배당을 간결히 분석합니다.

 

2025 SK하이닉스 배당금 분석. 시가총액 2위 반도체 기업의 실적 반등과 배당 흐름


1️⃣ 최근 주가 흐름

SK하이닉스 최근 3년간 주가 차트 이미지. 2022~2025년 주가 변동 흐름(출처:네이버증권)
(출처:네이버)

  • 📈 52주 최고가: 248,500원 (2024.07.12)
  • 📉 52주 최저가: 144,700원 (2024.09.19)
  • 📊 현재가: 183,000원 (2025.04.23 기준)

2024년 상반기에는 AI 반도체 수요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등했지만, 하반기에는 실적 우려와 메모리 재고 부담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현재는 최저가 대비 27%가량 반등한 수준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개선 기대감과 외국인 순매수 유입이 주가 반등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 주요 재무제표 분석 (2020~2027)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E] 2026[E] 2027[E]
매출액(억원) 319,004 429,978 446,216 327,657 661,930 848,061 971,726 1,029,268
영업이익 50,126 124,103 68,094 -77,303 234,673 344,361 395,698 404,428
순이익 47,589 96,162 22,417 -91,375 197,969 270,513 303,260 319,343
ROE(%) 9.53 16.84 3.55 -15.61 31.06 31.13 26.93 21.89
부채비율(%) 37.11 54.92 64.12 87.52 62.15 44.68 34.06 22.43
FCF(억원) 22,459 73,110 -42,297 -40,469 138,504 178,492 233,518 256,241

 

✔️ 2023년은 반도체 불황의 직격탄을 맞아 적자 전환되었지만, 2024~2025년에는 AI 수요에 힘입어 영업이익과 ROE가 큰 폭으로 개선될 전망입니다. FCF 역시 흑자로 전환되며 재무안정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산총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기업가치 상승 여력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3️⃣ 배당 분석 (2020~2027)

연도 DPS(원)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2020 1,170 0.99% 16.83%
2021 1,540 1.18% 11.03%
2022 1,200 1.60% 37.01%
2023 1,200 0.85% -9.06%
2024(E) 2,204 1.27% 7.68%
2025(E) 1,554 0.86% 4.20%
2026(E) 1,733 0.96% 4.10%
2027(E) 2,253 1.24% 5.14%

 

✔️ 실적이 적자였던 2023년에도 배당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SK하이닉스(000660)는 일정 수준 이상의 배당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실적 회복과 함께 배당금도 점차 증가하는 흐름입니다. 다만 배당성향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보수적인 배당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수익보다는 재무적 안정성과 성장 재원 확보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배당 지급일(2019~2025)

아래 표를 통해 연도별 기준일, 지급일,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 배당금 지급일표 이미지, 연도별 배당 기준일과 지급일 확인 (출처: investing.com)
(출처:investing.com)

 


4️⃣ 투자 포인트 요약

AI 수요 수혜 → 고부가 메모리 시장 회복 기대

실적 턴어라운드 → 2025년 영업이익 34조, ROE 31% 전망

저PER/저PBR 매력 → 2025년 PER 4.89배, PBR 1.26배

지속적인 배당 → 보수적이지만 꾸준한 배당 기조


5️⃣ 최종 정리

SK하이닉스(000660)는 2023년을 저점으로 실적이 반등하고 있으며, AI 반도체 중심의 수요 확대에 따라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도 큽니다. 배당은 제한적이지만 안정성을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성장성과 안정성을 함께 고려한 투자자에게 유망한 종목입니다.


🔜 다음 글 예고

👉 다음 글에서는 현대차(005380) 배당금 분석을 다룰 예정입니다. 전통 제조업에서 전기차 전환을 추진 중인 시가총액 5위 기업의 실적, 배당 정책, 투자 매력을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