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단순한 ETF 추천이 아닌, 세 ETF의 전략과 핵심 데이터를 비교해 투자자 성향에 맞는 선택을 돕기 위한 종합 분석입니다.
월배당 ETF에 관심 있는 투자자라면 QYLD, JEPI, SPHD 세 가지 ETF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ETF들은 매달 배당금을 지급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전략, 배당 수익률, 안정성, 구성 종목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이 세 ETF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항목별로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 기본 정보 비교
💡 특히 최근 1년간 자산 증가율을 보면, JEPI는 +22%로 가장 빠르게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ETF입니다. 이는 시장에서 JEPI의 안정성과 배당 전략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항목 | QYLD | JEPI | SPHD |
운용사 | Global X | JP Morgan | Invesco |
설정 연도 | 2013 | 2020 | 2012 |
최근 1년간 자산 증가율 | +8% | +22% | +3% |
설정 연도 | 2013 | 2020 | 2012 |
배당 지급 | 월배당 | 월배당 | 월배당 |
운용자산 | 약 70억 달러 | 약 300억 달러 | 약 37억 달러 |
수수료 | 0.60% | 0.35% | 0.30% |
✅ 전략 차이점
- QYLD: 나스닥 100 기반 커버드콜 전략 → 고배당 수익, 주가 성장 제한
- JEPI: S&P500 + ELN 구조 → 안정적인 수익과 낮은 변동성
- SPHD: 고배당 + 저변동성 스크리닝 → 방어형 포트폴리오
✅ 최근 성과 및 배당 비교 (2025년 기준)
항목 | QYLD | JEPI | SPHD |
현재 주가 | $16.96 | $57.11 | $49.66 |
52주 최고/최저 | $18.16 / $16.09 | $62.60 / $49.92 | $53.21 / $44.03 |
배당 수익률 | 약 11~12% | 약 7~9% | 약 4~5% |
최근 배당금 | $0.17 | $0.44 | $0.14 |
✅ 구성 종목과 섹터 특징
- QYLD: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기술주 중심 → 변동성 큼
- JEPI: 마이크로소프트, 브리스톨마이어스, 코카콜라 등 → 대형 우량주 중심
- SPHD: 알트리아, AT&T, 유틸리티·리츠 중심 → 방어적 섹터 비중 높음
✅ 장단점 요약
항목 | 장점 | 단점 |
QYLD | 높은 배당 수익률, 월 배당 | 주가 상승 제한, 리스크 큼 |
JEPI | 안정성 + 배당 균형, 낮은 변동성 | 수익 구조 복잡, 수익 제한 가능성 |
SPHD | 저변동성, 방어형 배당 | 성장성 부족, 섹터 편중 위험 |
✅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까?
투자 목적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고수익 배당이 우선이면: QYLD
- 안정성과 꾸준한 수익을 원하면: JEPI
- 보수적이고 리스크를 줄이고 싶다면: SPHD
ETF는 단일 선택보다 목적에 따라 복수 조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더 효과적일 수 있어요.
✅ 마무리
이번 글을 통해 세 ETF의 차이점과 전략을 비교해봤습니다. 직접 투자하기 전에는 각 ETF의 전략, 배당 성향, 구성 종목까지 충분히 이해한 뒤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글에서는 퇴직연금 DC형 계좌에 담기 좋은 국내 상장 ETF를 중심으로, 안정성과 장기 수익을 고려한 ETF 선택 전략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기대 부탁드려요! 😊